3-1 자금 조달 방법
기업 주식상장 이유 = 자금 조달
1 금융기관 차입(은행에서 돈 차입) ->부채 증가
2 채권발행 ->부채 증가
3 유상증자(주식시장에서 조달) ->부채가 아니라 주식수만 증가, 재무구조 개선 가능-> 대규모 자금 조달시 활용(특히 시장 활황일때 주가도 상승해있고, 주식투자자들의 투자심리도 좋아서 흥행) ->주가에 큰영향
4 메자닌: 채권과 주식의 중간, 채권인데 주식의 성격
일반 채권에 비해 금리가 낮고 주식전환 가능(시세차익 얻을 수 있음),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
5 기업공개(IPO)
채권 = 만기까지 일정한 이자 지급, 만기에 원금 돌려줌
전기차 침투율 2021 중국 11% (20년 5%), 미국 3%
2차전지
https://blog.naver.com/jangyijin/222463045816
3-2 유상증자(유증)
기업이 주식을 추가발행하고 투자자들에게 돈받고 파는 것
주식 수가 늘어남, 주가 하락함, 주가에 가장 큰 영향 끼침
돈을 받고 주식 분배 = 유상증자
돈을 안 받고 주식 분배 = 무상증자
유상증자시 확인해야 할것
1 증가하는 주식수 : 전체주식대비 몇%, 보통 30% 이상 (=주당가치 30% 하락)
2 자금조달 목적 : 시설자금(설비투자), 영업양수 자금(M&A), 운영자금(사업운용비),채무상환자금
시설자금은 중장기적으로 호재로 인식
운영자금,채무상환자금은 중단기 모두 악재로 작용
3 증자방식
1) 주주배정 : 기존 주주대상 -> 조정으로 주가 급락해도 주주들은 저렴하게 新주를 받을 수 있어 손실 일부 만회 가능
2) 3자배정 : 주주가 아닌 특수관계인이나 다른 투자자대상->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 많음 ->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지분투자할때 많이 활용하는 방식
1년간 보호예수(1년간 매각불가,회사정보를 잘 알고 있는 최대주주의 주식매각으로 인한 주가급락으로부터 소액투자자보호 시스템)로 유통주식수 불변->주식시장에 긍정적, 자금조달&유통주식수불변&대기업의투자=1석3조
발행대상이 누구인지 확인
사모펀드 외국계 기업 :단기투자 가능성 높음, 1년 후 매도가능성
대기업 : 지분 일부 확보 +장기적 안정적인 파트너십 유지 목적
3) 일반공모 : 제한 없이 모든 투자자대상 -> 기존주주에 대한 혜택 없어 주가에 큰 악재로 작용
4 新주 발행가액: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투자자들이 받게 되는 주식의 가격(보통 가격의 30%이상 할인 -> 발행가가 낮아야 투자자들이 주식을 받고나서 나중에 수익을 낼수 있고, 그래야 참여하기 때문)
5 新주배정 기준일: 신주를 배정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날짜, 주식매도는 이틀후 결제되기 때문에 결제일의 2일 전=배정일
2일 전 =배정일
1일 전 =권리락 : 권리가 소멸되는 날&늘어나는 주식수만큼 주가가 조정되는 날
ex)원래 주가 1만원-> 유상증자로 30% 주식수 증가-> 권리락 주가 7천원(30%급락)
6 청약(예정)일 : 참여 투자자들이 청약신청하는 날
7 납입일 : 청약신청 후 돈을 입금해야하는 날
8 신주상장예정일 : 신주가 지급되는 날, 이때부터 매도 가능
3-3 메자닌 3종 : 전환사채/신주인수권부사채/교환사채
1 전환사채 = 주가에 악재, 발행일로부터 1년후 주식 전환,매도 가능
주식수 증가 -> 주당가치의 하락 -> 주주가치 훼손
2 신주인수권부사채 = 채권유지+투자자가 원할 경우 약정가격에 주식 매수 가능한 권리가 부여된 상품
1) 분리형 : 주식 받고 매각해도 채권은 그대로 유지 -> 공모형만 발행가능, 사모형(특정 대상에게만 발행함)은 분리형 발행 금지
2) 비분리형 : 주식 받고 매각하면 채권도 소멸
3 교환사채 :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다른 기업의 주식이나 자사주로 교환 가능->주식수에 영향 없어 긍정적
** 전환사채, 신주인수권부사채 자주 발행하는 기업은 투자에 유의
3-4 무상증자
기업의 남은 잉여금(자체 현금)을 재원으로 함=재무구조가 좋은 기업임을 증명
보통 100% 무상증자=보유한 주식의 2배=기존주주도 보유주식수의 2배,가격은 50%로 할인(=권리락,강제적인 주가조정)=시가총액(발행주식수*주가)변동 없음
200% 무상증자=보유한 주식의 4배=주가 25%수준으로 하락
무상증자하면 주가 급등하는 경우 多
무상증자 하는 이유 : 거래량 증가시키기 위해, 거래량이 부족하면 투자자입장에서 거래에 제약이 생김
무상증자 -> 주식수증가 -> 주가낮아짐 -> 거래 활성화 -> 시장의 관심 끌기 가능
ex) 신주배정일 11/12
권리락 11/11
= 무상증자 받으려면 기준일 이틀전 11/10 주식보유하고 있어야 함
이전일,이후일 가지고 있든 없든 상관없음
3-5 기업의 투자
게임회사(엔씨) : 초기 투자비용多,출시 이후는 관리만 잘하면 됨-> 막대한 설비투자 필요 없음 -> 이익률 높은 편
은행(KB금융) : 설비투자 필요 없음, 금리-이익의 상관관계, 금리에 민감
제조업체(반도체, 식음료) : 설비투자(=성장의 시작) 필수, 시설투자시 공시해야함
ex) 국내 대표 PCB업체 대덕전자
(신규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 확대 수요 대응)
투자금 900억=회사자본 대비 13.83% -> 연간 1600억 이상 매출 예상
PCB중 FCBGA :CPU,TV,그래픽카드,5G,자동차, 삼성전기만 생산가능한 고난이도 제품
3-6 공시 필수 투자자
5% 이상 지분 보유한 주주, 회사임원, 특수관계인 : 매수매도 5영업일 이내 공시 필수
5% 이상 보유한 국가기관 : 매수매도 다음달 10일까지
3-7 자사주
기업이 보유한 현금으로 자기회사 주식 매수
목적 : 주가안정, 주주가치 제고, 임직원에 대한 성과급 지금 등, 합병시 합병의 대가로 지급하기도 함
매도량<매수량 = 주가 상승
매도량>매수량 = 주가 하락
1 자기주식취득 : 기업이 직접 매수, 강제성大->주가에 긍정적 작용
2 신탁계약 : 증권사가 대신 매수
장점 : 유통주식수에 포함 안됨 -> 유통주식수 기준 주당가치 계산시 주당가치 상승
** 자사주 소각 : 기업이 가진 현금으로 자기주식 없애는 것
-> 소각하는만큼 주식수 줄음->주당 가치 증가->주주가치 증가
= 주가에 긍정적 작용
** 주주환원정책 : 배당확대, 자사주 매입 등 주주가치 제고할수 있는 정책
'DREAM > 주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슈퍼리치는 해외주식에 투자한다 (3) | 2021.12.28 |
---|---|
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질문77 -4장 (0) | 2021.09.04 |
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질문77 -5장 (0) | 2021.09.03 |
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질문77 -2장 (0) | 2021.08.22 |
주린이가 가장 알고 싶은 질문77-1장 (0) | 2021.08.21 |